여름철 보약은 땀으로 다 나간다는데?
여름철 보약은 땀으로 다 나간다면 흔히 먹는 삼계탕이나 보신탕도 의미가 없다.
허약해진 몸을 보하는 데는 계절이 따로 없다.
여름은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 더위를 많이 타는 사람에게는 반갑지 않은 계절입니다.
그러나 한의학적으로 여름은 봄과 함께 양기가 왕성한 계절이기 때문에
몸에 따뜻한 기운이 부족한 사람들에게는 좋은 계절이라 할 수 있습니다.
땀은 더위나 운동 등으로 뜨거워진 우리 몸을 식혀 주고,
몸 안의 노폐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작용도 합니다.
그래서 땀을 전혀 흘리지 않고는 살 수 없습니다.
한의학에서는 감기로 인해 열이 펄펄 나고 땀이 나지 않을 때 치료의 한 방편으로
땀을 내주는 것을 중요시합니다.
일반적으로, 활동 후에 흘리는 어느 정도의 땀은 건강에도 유익합니다.
그러나 기력이 약한 사람들은 조금만 움직여도 진땀을 흘리면서 이내 기진맥진하여 힘들어 하기도 합니다.
이런 사람들은 기력 보충을 위해 보약을 쓸까 하다가도, 계절이 여름이면 망설이게 됩니다.
이것은 "여름철에 한약을 먹으면 약 기운이 다 땀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약효를 전혀 볼 수 없다"고 하는
잘못 알려진 말들 때문 일것입니다.
특히 보약은 더 더욱 효과를 보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여름이면 몸 보신을 위해 흔히 삼계탕이나 보신탕을 먹는데,
속설대로라면 이런 것들도 모두 땀으로 배출되어서 아무런 도움이 될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그런데도 유독 한약만 땀으로 배출된다고 믿는 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여름철에는 대개 땀을 많이 흘리기 때문에 전해질의 손실이 많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땀을 과다하게 흘리면 땀과 함께 우리 몸의 기가 너무 많이 빠져나가서 탈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때 보약을 써서 우리 몸의 외부를 든든하게 만들어 주면 빠져나가는 기운을 수습할 수 있고,
지나치게 심한 땀의 배출을 막아서 우리 몸의 기운을 조절해 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여름철은 에어컨 가동으로 인해 실 내외 공기의 기온차가 심해서 냉방병 등의 증상이 많이 나타납니다.
여기에 보약을 쓰면 기혈순환을 원활하게 유지하여
건강을 잃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효과도 기대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땀이 많이 나서 기운이 쉽게 소모되는 여름철 특유의 체력 저하뿐 아니라
본디 허약한 부분들에 대한 보약도, 때가 여름이라 해서 약효가 떨어지거나 손해를 보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허약해진 몸을 보충해주는 약을 먹는 데는 계절이 따로 있을 수 없습니다.
여름철에는 땀을 많이 흘리고 식욕이 저하되는 등 몸이 허약해지기 쉬우므로
더욱 '보약'을 먹어야 할 경우가 많습니다.